정조 효심 깃든 융건릉 산책기

Last Updated :
정조 효심 깃든 융건릉 산책기

가정의 달 5월, 융건릉에서 만나는 정조의 효심

5월은 가정의 달이다. 가족과 함께 뜻깊은 시간을 보내기에 좋은 이 시기에, 경기도 화성시에 위치한 융건릉을 찾았다. 융건릉은 조선왕조의 대표적인 왕릉으로, 사도세자와 헌경왕후 홍씨의 묘인 융릉, 그리고 그 아들 정조와 효의왕후 김씨의 묘인 건릉이 함께 자리하고 있다.

조선은 유교를 통치 이념으로 삼아 왕릉 조성과 관리에 효와 예를 다했다. 특히 풍수 사상에 따라 최고의 명당을 선정해 왕릉을 조성했으며, 주변 지형과 경관을 자연스럽게 살려 능을 만들었다. 이러한 정성 덕분에 융건릉의 경치는 매우 아름답고 평화로웠다.

융건릉은 2009년 유네스코 세계문화유산으로 등재되어 그 가치를 인정받았다. 입구에는 유네스코 지정 문화재임을 알리는 비석과 관람 시 유의사항 안내판이 세워져 있어 방문객들의 이해를 돕는다.

융릉·건릉 역사문화관에서 시작하는 융건릉 탐방

융건릉 입구에 들어서면 먼저 ‘융릉·건릉 역사문화관’이 방문객을 맞이한다. 이곳에서는 융건릉이 왕릉으로 조성되기까지의 과정과 묘의 형태, 관련 역사에 대해 상세히 알 수 있다. 역사문화관 입구에는 해설사가 대기하고 있어 희망하는 방문객은 20분가량의 해설을 들을 수 있다.

역사문화관을 나서면 산책로가 펼쳐지며, 융릉과 건릉으로 가는 갈림길이 나온다. 산책로는 4개의 코스로 나뉘어 있어 10분에서 50분까지 원하는 길이를 선택해 걸을 수 있다.

사도세자의 무덤, 융릉 산책

융릉으로 향하는 길은 고요하고 울창한 나무들이 길을 감싸고 있어 걷기에 쾌적하다. 넓은 잔디밭과 곳곳에 마련된 벤치 덕분에 쉬어가며 산책하기 좋다. 새소리가 자연의 음악처럼 마음을 편안하게 해준다.

융릉에 다다르면 홍살문을 지나 어로와 향로가 나타난다. 어로는 왕이 걷는 길, 향로는 제향 시 향과 축문을 들고 가는 길이다. 기자는 왕의 발자취를 따라 어로를 걸으며 조상에 대한 예를 되새겼다.

어로 끝에는 제사를 지내는 재실이 있고 그 뒤로 융릉이 자리한다. 드넓은 잔디와 울창한 나무, 햇살이 잘 드는 이곳은 왕릉의 위엄과 평화로움을 동시에 느끼게 한다. 사도세자가 영조의 명으로 뒤주에 갇혀 생을 마감했기에, 정조는 아버지의 묘가 막히지 않도록 융릉을 조성했다고 전해진다. 실제로 그 말이 실감나는 명당이었다.

정조의 능, 건릉 방문기

건릉 역시 융릉과 닮은 모습이다. 홍살문을 지나 어로와 향로, 재실을 거쳐 건릉에 이른다. 넓고 나무가 우거진 공간에 햇살이 잘 드는 점도 융릉과 비슷하다. 다만 크기는 조금 작아 보였다.

기자는 정조가 아버지 사도세자를 모시고자 했던 효심을 떠올리며, 보다 넓은 공간을 마련한 마음을 이해하게 되었다. 두 능은 서로 가까이 있지만 떨어져 있어, 한 공간에 함께 있었더라면 어땠을까 하는 생각도 들었다.

효의 의미를 되새기는 시간

정조는 생전에 아버지의 신분을 높이기 위해 평생 노력했다. 융건릉은 그런 정조의 효심을 잘 보여주는 역사적 공간이다. 기자는 열두 살로, 정조가 아버지를 잃은 열한 살 때의 마음을 완전히 이해할 수는 없지만, 그 슬픔과 효심이 얼마나 깊었을지 짐작할 수 있었다.

가정의 달 5월, 가족과 함께 융건릉을 방문해 정조의 효심을 느끼고, 효의 의미를 다시 한 번 되새겨보는 것은 어떨까. 이곳은 조선 왕조의 역사와 효 사상을 체험할 수 있는 소중한 장소다.

화성 융건릉
경기도 화성시 효행로481번길 21

정조 효심 깃든 융건릉 산책기
정조 효심 깃든 융건릉 산책기
정조 효심 깃든 융건릉 산책기 | 경기진 : https://ggzine.com/6950
서울진 부산진 경기진 인천진 대구진 제주진 울산진 강원진 세종진 대전진 전북진 경남진 광주진 충남진 전남진 충북진 경북진 찐잡 모두진
경기진 © ggzine.com All rights reserved. powered by modoo.i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