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기패스, 교통비 절감과 환경 보호 동시 실현

Last Updated :
경기패스, 교통비 절감과 환경 보호 동시 실현

경기도민 위한 The 경기패스, 교통비 부담 크게 줄여

경기도는 전국 모든 대중교통수단 이용 시 교통비 일부를 환급해 주는 「The 경기패스」 정책을 시행하며 도민들의 생활에 긍정적인 변화를 이끌어내고 있다. 이 정책은 교통비 절감뿐 아니라 환경 보호와 지역 경제 활성화에도 기여하는 대표적인 민생 정책으로 자리매김하고 있다.

도민 교통비 약 30% 환급, 연간 24만 원 절감 효과

지난해 5월부터 시행된 The 경기패스는 도민 1인당 월평균 6만 7,000원의 교통비 중 약 2만 원을 환급해 주고 있다. 이는 연간 약 24만 원에 달하는 금액으로, 도민들의 교통비 부담을 크게 덜어주는 효과를 나타내고 있다.

대중교통 이용 증가로 연간 22만 톤 이산화탄소 감축

환급 대상자의 실제 이용 실적을 분석한 결과, 1인당 대중교통 이용 횟수가 2024년 5월 29회에서 11월 39회로 증가했다. 이로 인해 연간 약 22만 톤의 이산화탄소 배출량이 줄어들었으며, 이는 소나무 1,100만 그루가 1년간 흡수하는 양과 맞먹는 수준이다.

절약된 교통비, 지역 경제 소비로 이어져 1천억 원대 경제 효과

이용자 조사에 따르면 The 경기패스로 절약된 교통비의 56%가 외식과 여가 등 지역 내 소비로 이어졌다. 최근 1년간 환급액 1,908억 원을 기준으로 산출한 결과 약 1,072억 원의 소비 창출 효과가 발생해 지역 경제 활성화에 크게 기여하고 있다.

지원 대상과 환급 비율 상세 안내

대상환급 비율
청년 (19~39세)30%
일반 (40세 이상)20%
저소득층53%
다자녀 가구2자녀 30%, 3자녀 50% (만 18세 이하 자녀 1명 이상 해당)

대중교통 이용 횟수에 따라 월 15~60회 이용 시 20~53%, 61회 이상 이용 시 100% 환급 혜택도 제공된다. 2025년 7월부터는 61회 이상 이용분에 대해 전액 환급이 적용될 예정이다.

The 경기패스와 K-패스, 기후동행카드 비교

The 경기패스는 K-패스와 달리 연령 범위가 19세부터 39세까지 확대되었으며, 월 환급 횟수 제한이 없고 일일 환급 횟수 제한도 없다. 또한 기후동행카드와 비교 시 전국 모든 대중교통(광역버스, GTX, 신분당선 등)을 지원하는 점이 특징이다.

이용 방법 안내

이용자는 K-패스에서 전용 카드를 발급받고, K-패스 홈페이지 또는 앱에서 회원가입하면 자동으로 경기패스 혜택이 적용된다. 이후 K-패스 카드로 대중교통을 이용하면 월별로 자동 환급이 이루어진다. 환급 지급 방식은 카드사별로 다를 수 있다.

교통비 절감과 환경 보호, 경제 활성화의 선순환

The 경기패스는 경기도민의 교통비 부담을 줄이는 동시에 대중교통 이용을 촉진해 온실가스 감축에 기여하고, 절약된 비용이 지역 경제 소비로 이어져 경제 활성화에도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고 있다. 이 정책은 교통, 환경, 경제 세 분야를 아우르는 모범적인 공공 정책으로 평가받고 있다.

경기패스, 교통비 절감과 환경 보호 동시 실현
경기패스, 교통비 절감과 환경 보호 동시 실현
경기패스, 교통비 절감과 환경 보호 동시 실현 | 경기진 : https://ggzine.com/7235
서울진 부산진 경기진 인천진 대구진 제주진 울산진 강원진 세종진 대전진 전북진 경남진 광주진 충남진 전남진 충북진 경북진 찐잡 모두진
경기진 © ggzine.com All rights reserved. powered by modoo.i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