보리밥에서 빵까지, 한 끼의 탄수화물 역사
국립농업박물관, 탄수화물 연대기 전시 개최
국립농업박물관은 2025년 11월 8일부터 2026년 3월 8일까지 기획전시 탄수화물 연대기를 선보인다. 이번 전시는 보리, 밀, 옥수수 등 주요 곡물을 중심으로 우리 식문화의 변천사와 세대별 음식 기억을 조명한다. 한 끼 식사의 역사와 함께 인간 생존의 근간인 탄수화물의 의미를 되새기는 자리다.
프롤로그: 탄수화물과 우리의 삶
전시 입구에는 우리의 생존에 필수적인 영양소 탄수화물, 탄수화물을 품은 곡물의 연대기를 따라가며 식문화 속 우리의 생활상을 살펴봅니다.라는 문구가 관람객을 맞이한다. 옛 브라운관 TV에서는 지난 100년간의 일상을 비추며, 한 끼 식사를 정성껏 준비하던 어머니의 부엌 풍경과 그 시절의 따뜻한 기억을 떠올리게 한다.
1부: 탄수화물의 어제 - 곡식과 기록의 역사
조선 시대 농서 농사직설, 산림경제, 대한제국 시기 증보문헌비고 등 농업 관련 고서들이 전시되어 있다. 이들 기록은 보리와 밀을 신곡과 구곡 사이를 잇는 중요한 곡식으로 여겼음을 보여준다. 조선 시대 농업은 국가 발전의 근간으로, 우리 실정에 맞는 농법을 집대성하고 보급하는 데 힘썼다.
또한, 식량난 시절 영아 영양 보충을 강조하는 포스터와 힘을 내게 하는 카로리(칼로리)의 원천인 탄수화물이라는 문구가 시대의 절박함을 전한다. 곡물을 가공하는 전통 기구들도 함께 전시되어 당시 생활상을 엿볼 수 있다.
2부: 탄수화물의 대명사 - 밀가루와 원조의 시대
광복과 6·25전쟁 이후 급변한 사회 속에서 밀과 옥수수의 역할이 부각된다. 일제강점기 쌀 수탈로 보리와 잡곡을 주로 먹어야 했던 시절, 전쟁으로 인한 식량 부족은 심각했다. 미국의 식량 원조로 밀가루와 옥수수가 대량 유입되면서 제분업이 성장했고, 다양한 상표가 등장했다.
전시장에는 미국산 밀가루 포대가 전시되어 있는데, 22kg 포대에 영어 문구와 악수 그림이 인쇄되어 있다. 악수표 밀가루로 불리며, 팔거나 다른 물건과 바꾸지 말 것이라는 문구는 당시 현실을 담담히 증언한다.
3부: 탄수화물의 오늘과 내일 - 변화하는 밥상과 기억
쌀은 오랜 기간 우리 식탁의 중심이었으나, 1970년대까지는 보리밥과 잡곡밥이 일상이었다. 혼분식 장려 운동이 활발히 전개되었으며, 1973년 담화문에서는 가정에서 잡곡 30% 이상 혼식과 주 2회 분식을 권장했다. 음식점에서도 이를 지키지 않으면 법적 처벌이 있었다.
전시장에는 혼식으로 부강 찾고, 분식으로 건강 찾자라는 포스터가 걸려 있다. 당시 문구와 디자인은 투박하지만, 생존을 위한 절실한 호소를 담고 있다. 중장년층에게는 어머니의 손맛과 도시락 속 보리밥 냄새, 친구들과 나눴던 옥수수 기억을 떠올리게 한다.
현대에 이르러 혼분식은 건강식으로 자리 잡았고, 보리는 가난의 상징에서 건강한 곡식으로 인식이 전환되었다. 반면 정제된 밀가루는 건강에 부정적 영향을 미친다는 인식도 생겼다. 탄수화물에 대한 인식은 시대와 함께 끊임없이 변화해왔다.
전시장 한편의 브라운관 TV에서는 옛 뉴스가 흘러나오며, 관람객은 자연스레 그 시절 밥상과 음식 문화를 떠올리게 된다. 음식은 시간과 장소, 사람을 잇는 따뜻한 매개체임을 다시금 확인할 수 있다.
에필로그: 당신의 곡물은 무엇인가요
전시 마지막에는 관람객이 선호하는 곡물을 선택할 수 있는 인터랙티브 코너가 마련되어 있다. 선택 결과는 즉시 통계 화면에 반영되어 다른 이들과 비교할 수 있다. 낱말 퀴즈와 표어 쓰기 프로그램 참여 시 소정의 선물도 제공된다.
장미진 학예연구사는 탄수화물 1순위 곡물은 쌀이지만, 이번 전시는 보리, 밀, 옥수수에 중점을 두었다. 탄수화물은 우리 식탁에 귀중한 곡물이며, 현대에는 다이어트와 저탄수화물 식단으로 애증의 존재가 되었다. 탄수화물이 걸어온 길은 우리 삶의 변천사이기도 하다고 전했다.
한 그릇의 밥, 한 줌의 보리, 한 조각의 빵에는 우리가 지나온 시대와 여전히 살아 숨 쉬는 한 끼의 역사가 담겨 있다.
전시 안내
| 전시명 | 탄수화물 연대기 |
|---|---|
| 기간 | 2025년 11월 8일 ~ 2026년 3월 8일 |
| 장소 | 국립농업박물관 기획전시실 (경기도 수원시 권선구 수인로 154) |
| 관람시간 | 화~일요일 10:00~18:00 |
| 관람료 | 무료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