배터리 산업, 정부 육성법안 연내 제정으로 성장가속화
정부, 사용후 배터리 유통 및 재활용 정책 강화
우리나라 전기차 보급이 60만 대 가량에 이르는 가운데, 2030년 사용후 배터리가 10만 개 이상 배출될 전망이다. 전기차 폐차 대수 증가로 2040년 전세계 사용후 배터리 시장규모는 2000억 달러를 넘을 것으로 추정된다.
정부의 대책
- 정부는 사용후 배터리에 대한 통합 관리체계 구축을 통해 재제조 및 재사용 시장 형성 지원 및 통상 규제 대응 계획 발표
- ‘사용후 배터리 산업 육성을 위한 법·제도·인프라 구축 방안’ 발표
- 2027년까지 배터리 전주기 이력정보를 공유할 수 있는 통합포털 개설 계획
통합법안과 인프라 구축
배터리 전주기 이력관리 시스템 | 재생원료 인증제 | 전기차 배터리 성능평가 |
규정 및 운영시스템 구축 | 재활용유가금속 제조 인증 | 산업 기반 마련 |
정부의 사용후 배터리 유통 및 재활용 정책은 통합법안과 인프라 구축을 중심으로 산업 활성화를 향한 움직임을 보여주고 있다. 이는 미래 환경 변화에 대비하여 선제적으로 대응하는 중요한 정책 방향임을 보여준다.
안전 및 공정성 강화
사용후 배터리 유통 안전검사, 거래 안전성 강화를 위한 공정거래 가이드라인 마련 및 사업자 등록제도 도입 계획 또한 발표되었다.
정부의 이 같은 정책들은 사용후 배터리 관련 산업의 투명성과 안전성을 확보하며, 재활용 및 재제조를 통한 자원 순환을 촉진하는데 중요한 역할을 할 것으로 전망된다.
문의처
기획재정부 정책조정국 신성장정책과(044-215-4550), 산업통상자원부 첨단산업정책관 배터리전기전자과(044-203-4260), 환경부 자원순환국 자원재활용과(044-201-7380), 국토교통부 모빌리티자동차국 자동차정책과(044-201-3817)
정책브리핑의 정책뉴스자료는 「공공누리 제1유형:출처표시」의 조건에 따라 자유롭게 이용이 가능하며, 출처를 표기하지 않을 시에는 저작권법 위반에 따라 처벌될 수 있다. 자료 출처는 정책브리핑 사이트(www.korea.kr)를 참고하시길 바랍니다.
자주 묻는 질문 FAQ
질문 1.
정부가 사용후 배터리 관리를 위해 내놓은 통합법안은 무엇인가요?
질문 2.
환경부가 도입하는 재생원료 인증제도의 목적은 무엇인가요?
질문 3.
정부가 2027년까지 시행할 전기차 배터리 탈거 전 성능평가의 목적은 무엇인가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