청탁금지법 위반신고 역대 최저 수치 기록!

Last Updated :

청탁금지법 위반신고 현황

2023년 청탁금지법 위반신고 현황에 따르면, 지난해 2만 4000여 개의 공공기관에 접수된 신고 건수는 총 1294건으로, 이는 법 시행 이후 역대 최저 기록을 경신한 수치입니다. 제재 처분을 받은 인원은 318명으로, 2022년 대비 24% 감소 하였습니다. 이러한 결과는 공공기관이 관련 법규를 더욱 철저히 준수하고 있다는 것을 보여줍니다. 국민권익위원회는 이번 실태 점검을 통해 각 기관의 위반신고 접수 및 처리 현황을 면밀히 검토하였으며, 그 결과를 바탕으로 청탁금지법의 성과와 미흡한 점을 분석하기 위한 조치를 취하고 있습니다.

청탁금지법의 변화 및 감소 추세

청탁금지법 시행 이후 발생한 위반신고는 총 1만 4818건에 달하며, 그 중 부정청탁이 58.2%, 금품 수수가 38.9%, 외부 강의 등이 2.9%를 차지합니다. 이러한 종류의 위반행위는 역대적으로 많이 발생했으나, 2022년 이후 신고 건수가 감소 하는 추세를 보이고 있습니다. 특히, 외부 강의에 대한 초과 사례금 신고는 2022년 68건에서 지난해 11건으로 84% 대폭 감소 하는 성과를 나타났습니다. 이는 각급 기관에서 실태 관리를 보다 엄격히 시행한 결과로 풀이됩니다.


  • 2022년에 비해 청탁금지법 위반신고 건수가 크게 감소.
  • 외부 강의 초과 사례금 신고가 현저히 줄어든 점.
  • 공직자들의 신고 및 반환 의무 이행이 강화됨.

제재 처분 현황 분석

최근 청탁금지법 위반으로 제재를 받은 인원은 전체 2197명이며, 이중 금품 수수가 94.4%로 가장 많은 비율을 차지합니다. 제재 유형으로는 과태료 부과가 67.8%를 차지하며, 이어서 징계부가금과 형사처벌이 뒤따릅니다. 2022년의 제재 인원이 416명이라는 점에서, 지난해 318명으로의 감소는 의미 있는 변화입니다. 이러한 수치는 각 기관이 청탁금지법을 제대로 시행하고 있다는 긍정적인 신호로 보입니다.

청탁방지담당관의 역할

올해 청탁방지담당관이 지정되지 않은 지방의회 23곳, 즉 9.5%에 대해 시정조치를 취했습니다. 현재 전체 공공기관 중 98.9%는 청탁방지담당관을 지정하여 운영하고 있으며, 기관별로 연평균 2회 이상 교육을 통해 청탁금지법을 충실히 이행하고 있습니다. 청탁방지담당관은 제도 운영이 제대로 이루어지도록 감시하는 역할을 하며, 교육을 통해 내외부의 신뢰를 구축하는 데 기여하고 있습니다.

부적절 사례 및 시정 조치

부적절 사례 발생 건수 내용 조치 여부
25건 금품 수수 관련 과태료 통보 미비 시정 조치 요청

이번 실태 점검에서 확인된 부적절한 처리 사례는 모두 25건으로, 국민권익위원회는 이를 빠르게 개선하도록 요구하고 있습니다. 만약 이행이 이루어지지 않을 경우 종합청렴도 감점 등의 처벌이 반영될 예정입니다. 또한, 우수 사례에 대해서는 향후 청탁금지법 설명회를 통해 다른 기관에 전파할 계획입니다.

청탁금지법 제정의 의미

유철환 국민권익위원장은 “청탁금지법은 공직자들이 직무를 공정하게 수행하도록 보장하기 위해 제정된 법률로 법 시행 8년 차를 맞이하였습니다. 신뢰 확보를 위한 기반 역할을 하고 있으며, 위반신고와 제재 인원이 감소하는 등 긍정적인 결과를 보여주고 있습니다. 그러나 각 공공기관에서 부적절한 사례가 잇따라 발생하고 있어서, 철저한 자체 검토와 신고 처리 체계의 강화를 위해 국민권익위원회가 지속적으로 지원할 것”이라고 강조했습니다.

미래 지향적 청탁금지법 운영

국민권익위원회는 청탁금지법의 운영 효율성을 높이기 위해 각 기관의 교육 프로그램과 자체 점검을 지속적으로 지원하겠습니다. 이번 점검 결과 도출된 시정 조치 및 개선 사항들은 앞으로의 법 운영에 큰 도움이 될 것으로 기대하고 있습니다. 각급 기관들이 보다 효율적으로 청탁금지법을 운영하여, 투명한 공직 사회를 만들어 나갈 수 있도록 지속적인 노력이 필요합니다.

기관의 교육 및 관리 방안

공공기관은 청탁금지법의 원활한 운영을 위해 매년 2회 이상 교육을 실시하고 있으며, 이를 통해 공직자들의 법적 이해도를 높이는데 힘쓰고 있습니다. 이 같은 지속적인 교육과 정기적인 관리가 위반행위 감소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 것입니다. 앞으로도 공공기관의 청탁방지 담당자들이 실질적으로 제도 운영을 투명하게 할 수 있도록 보다 더 체계적인 지원이 요구됩니다.

국민의 신뢰와 법 제도의 역할

청탁금지법이 제정된 이유는 국민의 신뢰를 확보하고 공직 사회의 투명성을 높이기 위한 것이었습니다. 이러한 법적 기반이 자리 잡음으로써, 공직자들의 책임과 국민의 신뢰도가 함께 제고되고 있습니다. 국민권익위원회는 청탁금지법이 생활 속에서 규범으로 자리 잡을 수 있도록 지속적으로 노력을 기울일 것입니다.

결론

청탁금지법은 공정한 직무수행을 보장하는 중요한 법률로 자리 잡았습니다. 관련 신고 건수와 제재 인원이 감소하는 긍정적 성과를 보여주고 있는 만큼, 앞으로도 각 기관과의 협력을 통해 법을 보다 강력하게 운영하고, 공정성을 유지하는 데 힘쓸 것입니다. 이를 통해 국민의 믿음을 더욱 강화할 수 있길 기대합니다.

자주 묻는 숏텐츠

청탁금지법 위반신고 건수는 어떻게 되나요?

청탁금지법 시행 이후 2023년 말까지 접수된 위반신고는 총 1만 4818건입니다. 2022년에는 1294건으로 역대 최저 수준을 기록했습니다.

청탁금지법 위반으로 제재를 받은 인원은 몇 명인가요?

2023년에는 청탁금지법 위반으로 제재를 받은 인원이 318명으로, 이전 해인 2022년 대비 24% 감소했습니다. 법 시행 이후 제재를 받은 총 인원은 2197명입니다.

부정청탁과 금품 수수는 어떤 비율로 발생하고 있나요?

청탁금지법 위반행위 유형별로는 부정청탁이 8630건(58.2%), 금품 등 수수가 5764건(38.9%), 외부 강의 등 초과 사례금이 424건(2.9%)으로 나타났습니다.

일본 2024년 달력

GIF 파일 만들기

깃허브 파일 올리기

좀비 웹툰

PDF 한글 변환

청탁금지법 위반신고 역대 최저 수치 기록!
청탁금지법 위반신고 역대 최저 수치 기록! | 경기진 : https://ggzine.com/5983
경기진 © ggzine.com All rights reserved. powered by modoo.i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