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기 기후플랫폼, 데이터로 기후 위기 대응 시작

Last Updated :
경기 기후플랫폼, 데이터로 기후 위기 대응 시작

경기도, 기후·환경·에너지 통합 플랫폼 개시

경기도가 기후 변화와 에너지 효율 문제에 대응하기 위한 종합 플랫폼인 '경기 기후플랫폼'(climate.gg.go.kr)을 7월 28일 공식 개시했다. 이 플랫폼은 항공 LiDAR, 위성 영상, 인공지능(AI), 빅데이터 등 다양한 첨단 기술을 활용해 환경 정보를 통합·분석하여 도민과 기업, 공공기관에 제공한다.

경기도청에서 열린 개시 행사에는 경기연구원, 경기도 기후위기대응위원회, 한국건설기술연구원 등 관련 기관과 전문가들이 참석해 플랫폼 활성화 방안을 논의했다. 경기 기후플랫폼은 지역별 탄소 배출·흡수량, 광역 도시생태 현황, 건축물별 에너지 사용량, 재생에너지 발전량, 중소기업 기후경영 서비스, 기후 재난 위험 예측 등 다양한 데이터를 공개한다.

과학적 데이터 기반 정책 지원과 민관 협력

경기도는 기후 위기 대응과 재생에너지 확대에 어려움을 겪어 왔으나, 이번 플랫폼 구축으로 정밀한 데이터에 기반한 과학적 의사결정을 지원할 수 있게 됐다. 공공기관은 산사태 취약지구 지정과 재난 대책 수립, 탄소중립 목표 관리 등에 활용할 수 있으며, 기업은 탄소 회계와 에너지 경영 서비스를 통해 전기요금 절감 등 실질적 혜택을 누릴 수 있다.

도민들은 폭염 대피소 위치, 산사태 위험 등 기후 위험 정보를 실시간으로 확인하고, 태양광 발전 시뮬레이션을 통해 예상 수익과 전기요금 절감 효과를 미리 체험할 수 있다. 이처럼 경기 기후플랫폼은 디지털 기후 거버넌스의 중심으로서 민관 협력을 촉진하며 기후 위기 대응 생태계 구축에 기여할 전망이다.

기후 위기 대응 3대 프로젝트와 미래 전망

경기도는 경기 기후플랫폼과 함께 '기후 위성', '기후보험', '기후 펀드' 등 3대 프로젝트를 추진 중이다. 11월 발사 예정인 초소형 기후 위성은 도시 열섬, 온실가스, 재난 상황 등 실시간 데이터를 수집해 정밀한 정책 수립에 활용된다. 기후보험은 기후 변화로 인한 건강 피해를 대비하는 전국 최초의 공공형 보험 제도이며, 기후 펀드는 미활용 국·공유지에 재생에너지 발전소를 설치해 주민에게 수익을 환원하는 정책이다.

고영인 경기도 경제부지사는 "신뢰도 높은 데이터 확보가 기후 문제 해결의 선결 조건"이라며 "경기 기후플랫폼이 최적의 기후 위기 대응 방안을 제시하는 기후종합진단서 역할을 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김동연 경기도지사도 "기후 변화는 과학이고 데이터"라며 과학과 데이터에 기반한 정책 수립 의지를 밝혔다.

경기 기후플랫폼, 데이터로 기후 위기 대응 시작
경기 기후플랫폼, 데이터로 기후 위기 대응 시작
경기 기후플랫폼, 데이터로 기후 위기 대응 시작 | 경기진 : https://ggzine.com/7206
서울진 부산진 경기진 인천진 대구진 제주진 울산진 강원진 세종진 대전진 전북진 경남진 광주진 충남진 전남진 충북진 경북진 찐잡 모두진
경기진 © ggzine.com All rights reserved. powered by modoo.i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