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중근 의사와 함께하는 역사토크콘서트

Last Updated :
안중근 의사와 함께하는 역사토크콘서트

안중근 의사의 유묵과 독립정신을 되새기다

지난 11월 11일, 수원 경기아트센터 대극장에서 열린 '최태성의 역사토크콘서트, 안중근 의사의 유묵과 동양평화론'이 성황리에 개최되었다. 이번 행사는 경기문화재단과 광복회 경기도지부가 광복 80주년을 기념하여 수원, 파주, 고양에서 총 3회에 걸쳐 진행하는 특강 시리즈의 첫 번째 자리였다.

특히 이번 토크콘서트에는 안중근 의사의 제증손자인 안기하 님이 참석해 자리를 빛냈다. 안기하 님은 "안중근 의사의 나라를 위한 결단과 희생을 후손으로서 깊이 존경한다"며, "안 의사와 관련된 자료 중 일본이 촬영한 고통스러운 모습이 아닌, 독립 의병 참모 중장으로서의 당당한 모습을 널리 알리고 싶다"는 뜻을 전했다.

최태성 강사의 강의 내용

강의는 안중근 의사가 1909년에 남긴 유묵 한 점을 소개하는 것으로 시작되었다. 이 글은 일본 제국주의의 몰락을 예견하는 내용으로, 안 의사가 직접 일본의 제국주의를 비판한 최초의 글로 알려져 있다. 최태성 강사는 이 유묵을 통해 안중근 의사가 왜 하얼빈으로 향할 수밖에 없었는지, 그리고 그의 삶에서 우리가 배워야 할 점을 설명했다.

안중근 의사의 어린 시절부터 이야기가 이어졌다. 활쏘기와 사냥을 즐기던 소년 시절의 경험이 그의 성장과 독립운동 결심에 큰 영향을 미쳤다는 점을 강조하며, 최 강사는 "우리 모두가 자신이 좋아하는 것을 발전시켜 목표를 이루는 삶을 살길 바란다"고 말했다.

1905년 을사늑약으로 외교권을 빼앗긴 대한제국의 현실을 목격한 안중근 의사는 나라를 구하기 위해 결연한 의지를 다졌다. 그는 중국 상하이에서 동지를 찾으려 했으나 뜻을 같이하는 이들을 만나지 못했고, 연해주로 이동해 독립운동가 양성을 위한 학교를 세웠다. 그러나 일제의 침략은 빠르게 진행되었고, 안 의사는 여러 차례 군사를 모집해 전투에 참여했으나 어려움을 겪었다.

특히, 전투에서 포로를 석방하는 국제 조약을 지키기 위해 일본군을 놓아주었으나, 이로 인해 부대 위치가 노출되어 동지들이 전사하는 아픔을 겪었다. 이후에도 군사 모집에 어려움을 겪었으나, 흔들리는 마음을 다잡기 위해 자신의 손가락을 자르는 결연한 의지를 보였다.

하얼빈에서의 결단과 희생

안중근 의사는 이토 히로부미가 러시아로 이동한다는 소식을 듣고 하얼빈에서 그를 저격하는 데 성공했다. 이후 뤼순 감옥에 수감되었으나, 독립에 대한 희망을 잃지 않고 감옥 내에서도 많은 이들에게 감명을 주었다. 그의 글귀는 독립을 향한 굳은 의지를 담고 있어 많은 이들에게 교훈이 되었다.

숨겨진 독립운동가 최재형 선생의 역할

토크콘서트의 질의응답 시간에는 어린이의 질문을 통해 안중근 의사가 사용한 총을 누가 지원했는지에 대한 이야기가 나왔다. 최태성 강사는 "총과 경제적 지원을 제공한 이는 고려인 독립운동가 최재형 선생"이라며, "우리는 최재형 선생과 같은 숨겨진 독립운동가들을 기억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역사에서 배우는 미래의 교훈

이번 강의를 통해 참석자들은 우리나라의 국력을 더욱 키우고 미래를 단단히 설계해야 한다는 다짐을 새롭게 했다. 행사가 끝난 후 어둑어둑한 밤하늘 아래에서 많은 이들이 깊은 감명을 받은 모습이었다.

한편, '최태성의 역사토크콘서트'는 12월 3일 파주, 12월 30일 고양에서 각각 두 차례 더 개최될 예정이다. 참여를 희망하는 도민은 경기도 평생학습포털 지식(GSEEK)을 통해 온라인 신청할 수 있으며, 선착순 무료 강연으로 진행된다.

안중근 의사와 함께하는 역사토크콘서트
안중근 의사와 함께하는 역사토크콘서트
안중근 의사와 함께하는 역사토크콘서트 | 경기진 : https://ggzine.com/7497
서울진 부산진 경기진 인천진 대구진 제주진 울산진 강원진 세종진 대전진 전북진 경남진 광주진 충남진 전남진 충북진 경북진 찐잡 모두진
경기진 © ggzine.com All rights reserved. powered by modoo.i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