창업지원사업 정부 지자체의 3조 3000억 원 규모!

Last Updated :

창업지원사업 개요

정부와 지방자치단체는 내년에 3조 3000억 원 규모의 창업지원사업을 추진할 예정입니다. 중소벤처기업부는 오는 31일에 3조 2940억 원 규모의 내년 중앙부처 및 지자체 창업지원사업 통합공고를 발표한다고 밝혔습니다. 이번 공고에는 총 101개 기관의 429개 창업지원사업이 포함되며, 전체 예산은 3조 2940억 원에 달합니다. 중소벤처기업부의 창업지원사업 통합공고는 창업기업 및 예비창업자에게 창업지원 정보를 일괄적으로 알기 쉽게 제공하기 위한 노력을 지속해오고 있습니다. 특히, 이번 사업은 다양한 유형의 지원사업이 포함되어 있어 창업자들에게 혜택을 제공할 것으로 기대됩니다.

지원사업 유형별 예산 배분

이번 창업지원사업의 예산은 여러 유형으로 나뉘어 지원됩니다. 융자, 사업화, 기술개발 등 8개 항목으로 구성된 지원사업의 유형별 예산 배분은 다음과 같습니다. 융자가 1조 5552억 원으로 가장 높은 비중을 차지하고 있습니다. 사업화 지원에 7666억 원, 기술개발에 6292억 원이 뒤를 잇습니다. 이러한 지원금은 중소기업과 스타트업의 사업 확장 및 성장에 중요한 역할을 할 것입니다.


  • 융자: 1조 5552억 원으로 47.1% 차지
  • 사업화: 7666억 원으로 23.3% 차지
  • 기술개발: 6292억 원으로 19.1% 차지

중앙부처 및 지자체의 협력

중기부는 2조 9499억 원의 예산을 지원하며, 문체부, 과기정통부, 환경부 등 다른 중앙부처와 협력하고 있습니다. 중기부의 총 지원 예산은 중앙부처 예산의 94.6%를 차지합니다. 특히 통일부와 방위사업청은 창업지원사업을 신설할 예정으로, 방사청은 방산혁신클러스터와 관련된 사업에 13억 원을 지원합니다. 이러한 협력은 창업지원의 범위를 확대할 것으로 기대됩니다.

특화된 창업 지원 프로그램

중소벤처기업부는 유망 창업기업을 선정하여 사업화 및 성장 지원을 위한 초격차 스타트업1000+ 프로젝트를 시행합니다. 1310억 원의 예산으로 669개사를 지원할 계획입니다. 또한, ‘딥테크 밸류업 특화 프로그램’을 신설해 혁신 기술을 보유한 스타트업을 대기업과 협업하게 하여, 예산 70억 원으로 50개 사를 지원할 예정입니다.

환경 및 기술개발 분야 지원

환경부는 에코스타트업 지원사업을 통하여 230억 원 예산으로 유망 창업 아이템을 가진 예비 창업자와 창업 기업에 210개 사를 지원할 계획입니다. 기술 개발 측면에서는 창업성장기술개발 사업을 통해 5960억 원을 지원받아 최대 15억 원까지 기술 개발비를 출연할 예정입니다. 이러한 정책은 창업 기업의 기술력 향상과 지속 가능한 발전에 기여할 것입니다.

글로벌 진출을 위한 지원

프로그램 예산 지원 대상
글로벌 기업 협업 프로그램 530억 원 353개사 지원
스타트업 법률지원사업 18억 원 600개 사

이 외에도 문체부는 글로벌 진출지원 프로그램을 통해 콘텐츠 분야 스타트업을 지원하고 있으며, 25억 원의 예산으로 85개사 내외를 대상으로 지원하고 있습니다. 이러한 다양한 프로그램은 스타트업이 글로벌 시장으로 나아가는 데 큰 도움을 줄 것입니다.

재도전 기회를 제공하는 지원

이번 창업지원사업 통합공고에는 실패한 기업인의 재도전을 위한 지원도 포함되어 있습니다. 중기부는 재창업 융자자금을 2000억 원으로 확대하여 지원하고 있으며, 지자체들도 교육, 멘토링, 사업화 등을 통해 성공적인 재창업을 유도하고 있습니다. 이러한 정책은 경영에 실패한 창업자에게 새로운 기회를 제공합니다.

창조경제혁신센터의 역할

중기부는 전국 17개 창조경제혁신센터를 통해 스타트업과 투자자 간의 네트워킹, 투자설명회 등 다양한 지원 프로그램을 운영하고 있습니다. 364억 원의 예산으로 이러한 지원을 강화하여, 창업자들이 투자와 협력의 기회를 가질 수 있도록 하고 있습니다. 창조경제혁신센터는 스타트업의 성장에 중요한 기반이 됩니다.

서울시의 창업 인프라 조성

서울시는 창업을 활성화하기 위해 서울창업허브와 같은 창업 인프라를 조성하여, 창업 기업들이 더 나은 환경에서 성장할 수 있도록 지원하고 있습니다. 자치구에서도 핀테크랩 등 다양한 창업 지원 자원을 마련하여, 관악S밸리 중심으로 스타트업의 집적화 및 성장을 돕고 있습니다. 이러한 인프라는 스타트업의 성과 확대에 기여합니다.

결론 및 향후 계획

조경원 중기부 창업정책관은 이번 통합공고를 기반으로 내년에도 창의적인 아이디어와 혁신적인 기술로 창업에 도전하는 이들을 적극 지원할 계획임을 전했습니다. 정부와 지자체는 이러한 창업 지원을 통해 일자리 창출과 지속 가능한 경제 성장을 도모할 것입니다. 앞으로도 창의성과 혁신 중심의 지원사업이 확대되기를 기대합니다.

자주 묻는 숏텐츠

질문 1. 창업지원사업 통합공고는 언제 발표되나요?

내년 중앙부처 및 지자체 창업지원사업 통합공고는 중소벤처기업부가 오는 31일 발표할 예정입니다.

질문 2. 창업지원사업의 총 예산은 얼마인가요?

내년 창업지원사업의 총 예산은 3조 2940억 원입니다.

질문 3. 창업지원사업에서 어떤 유형의 지원이 제공되나요?

창업지원사업은 융자, 사업화, 기술개발 등 총 8개 유형으로, 융자와 사업화, 기술개발이 주요 지원 분야입니다.

창업지원사업 정부 지자체의 3조 3000억 원 규모!
창업지원사업 정부 지자체의 3조 3000억 원 규모! | 경기진 : https://ggzine.com/6344
경기진 © ggzine.com All rights reserved. powered by modoo.i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