평택시 독서문화 비결, 100명 도서 선정단

Last Updated :

평택시 독서문화의 특별한 비결

평택시에서 열린 ‘2025 평택 책축제 with 책 읽는 학교’ 현장은 시민들의 독서 열정과 참여로 가득했다. 지역 주민들이 스스로 독서문화를 만들어가는 모습은 흔치 않은데, 평택시는 시민들이 직접 ‘도서 선정단’에 참여해 책을 꼼꼼히 읽고 토론을 거쳐 선정하는 독특한 방식을 운영하고 있다.

책축제 현장의 생생한 모습

배다리도서관 야외 마당은 아이들의 웃음소리와 함께 복화술 버블쇼, 어린이 체험 부스, 장서인 만들기, 목공예 부스 등 다양한 프로그램으로 활기를 띠었다. 잔디밭에는 피크닉용 돗자리와 미니 텐트, 책 바구니가 마련되어 가족 단위 방문객들이 자유롭게 책을 읽는 모습이 인상적이었다. 특히 그림책 수영장에서는 어린이들이 책장을 넘기며 즐거운 시간을 보냈다.

도서관 1층에서는 음악과 시가 어우러진 낭독 북콘서트가 열려 축제의 낭만을 더했다. 야외 필로티 공간에는 ‘with 책 읽는 학교’로 선정된 여러 학교와 동아리들이 부스를 설치해 전시 및 체험 행사를 진행했다. 소사벌중학교, 비전중학교, 세교초등학교, 배다리중학교 등 다양한 학교가 참여해 독서 활동을 알렸다.

학교와 도서관의 협력과 성장

배다리중학교 도서부 김나연 학생은 “바람이 많이 불어 부스 준비가 힘들었지만, 올해 초부터 준비해 보람을 느낀다”며 “이번 행사를 통해 도서부가 학생들의 독서 활동에 적극적임을 알리고 싶다”고 말했다. 최은주 사서교사는 “협력 학교로 선정되어 책 30권을 지원받고 작가와의 만남도 진행했다”며 “책 ‘고요한 우연’을 읽고 공감, 학교, SNS라는 키워드로 타이포셔너리를 만들어 책의 주제를 표현했다”고 전했다.

최 사서교사는 “책 읽는 학교 사업은 2023년 시작해 매년 책축제가 진행되고 있으며, 체계적인 과정이 큰 장점”이라며 “앞으로도 지속되길 바란다”고 밝혔다.

시민이 주도하는 독서문화

배다리도서관 김미희 운영팀장은 “책축제 사업 모델은 2008년 독서운동에서 시작됐다”고 설명했다. 그는 “시민 100명이 도서 선정단에 자원해 4개월 동안 책을 읽고 네 번의 토론과 회의를 거쳐 책을 선정한다”며 “이 모든 과정이 시민들의 자발적 참여로 운영된다”고 강조했다.

김 팀장은 “100명의 시민이 자발적으로 봉사하는 모습은 어디서도 보기 힘든 일”이라며 시민들의 독서 열정에 자부심을 드러냈다. 또한 “도서관에 토론용 책을 여러 권 비치해 소모임을 통해 더 많이 읽고 책과 삶을 나누는 시간이 되길 바란다”고 말했다.

지역 문화로 자리 잡은 평택 책축제

평택의 책축제는 이제 시민이 함께 배우고 성장하는 지역 문화로 확고히 자리 잡았다. 이 축제가 다른 지역에도 좋은 본보기가 되어 시민이 함께 읽고 소통하는 경기도로 이어지길 기대한다.

평택시 독서문화 비결, 100명 도서 선정단
평택시 독서문화 비결, 100명 도서 선정단
평택시 독서문화 비결, 100명 도서 선정단 | 경기진 : https://ggzine.com/7469
서울진 부산진 경기진 인천진 대구진 제주진 울산진 강원진 세종진 대전진 전북진 경남진 광주진 충남진 전남진 충북진 경북진 찐잡 모두진
경기진 © ggzine.com All rights reserved. powered by modoo.i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