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기도 공동주택 품질점검단 8월 현장점검 성과
Last Updated :

경기도 공동주택 품질점검단, 8월 현장점검 현황
경기도는 매월 공동주택 품질점검단을 통해 입주민의 안전과 생활 편의를 위한 현장점검을 실시하고 있습니다. 민간 전문가들로 구성된 품질점검단은 직접 현장을 방문하여 주택 품질 개선을 위한 자문을 제공하며, 하자 분쟁 예방과 주택 품질 향상에 기여하고 있습니다.
공동주택 품질점검 제도 개요
경기도 공동주택 품질점검 제도는 입주 예정자의 전문성 부족을 보완하기 위해 민간 전문가가 현장을 직접 점검하는 제도입니다. 이 제도는 입주 후 발생할 수 있는 하자 분쟁을 사전에 예방하고, 공동주택의 품질을 높이는 데 목적이 있습니다.
품질점검 대상은 경기도 조례에 따라 공동주택 30세대 이상, 도시형생활주택 50세대 이상, 주상복합 100세대 이상, 리모델링 30세대 이상 증가 시, 오피스텔 500실 이상 등으로 규정되어 있습니다.
점검 실시 단계
- 골조공사 중: 경기도 주관, 공정률 20~30% 내외
- 골조완료 후: 시·군 주관, 공정률 50~65%
- 사용검사 전: 경기도 주관, 공정률 95~99%, 입주자 사전 방문 후
- 사후 점검: 시·군 주관, 사용검사 후 3개월 이내
점검 결과는 시·군과 시공사에 통보되어 시정 조치가 이루어지며, 경기도 누리집을 통해서도 확인할 수 있습니다.
2025년 8월 품질점검 주요 현황
8월 한 달간 경기도는 부천시 등 15개 현장에서 품질점검을 진행했습니다. 단지별 시공 상태에 맞춘 맞춤형 자문을 통해 골조공사 중 339건, 사용검사 전 369건의 다양한 자문 의견이 제시되었습니다.
점검 단계 | 현장 수 | 자문 건수 | 주요 분야별 자문 건수 |
---|---|---|---|
골조공사 중 | 7개 현장 | 339건 | 건축시공 64건, 품질 69건, 건설안전 57건, 전기·통신 60건, 기계 59건, 구조 30건 |
사용검사 전 | 8개 현장 | 369건 | 건축 103건, 조경 44건, 전기·통신 95건, 기계 62건, 소방 65건 |
주요 자문 사례
- 골조공사 중: 매입 배관 이물질 침입 방지 처리 권고
- 골조공사 중: EPS실 케이블 트레이 관통 홀 보호 조치 권고
- 사용검사 전: 팬룸 덕트 행거 찬넬 보호캡 시공 권고
- 사용검사 전: 주차장 소화전함 주변 충돌 방지 보호대 설치 권고
우수 현장 사례
- 골조공사 중: 균열측정기 설치로 균열 관리 우수 사례
- 골조공사 중: 발전기실 외부 급기구와 배기구 배치 방향 달리해 배기가스 유입 방지
- 사용검사 전: 저수조 주위 급수배관에 캣워크 설치로 유지관리 편의성 향상
- 사용검사 전: 상수도 소화전 주변에 안전 보호대와 표지판 설치
문의 안내
공동주택 품질점검 관련 문의는 경기도청 공동주택과로 연락하면 자세하고 친절한 안내를 받을 수 있습니다.
전화번호: 031-8008-4993, 031-8008-4916, 031-8008-2593, 031-8008-4909
경기도는 앞으로도 보이지 않는 곳까지 세심하게 점검하여 입주민의 안전과 쾌적한 주거 환경 조성에 최선을 다할 것입니다.

경기도 공동주택 품질점검단 8월 현장점검 성과 | 경기진 : https://ggzine.com/7362